분류 전체보기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개인정보 처리방침(미세먼지퉤퉤퉤) 개인정보 처리방침 (예시)**은(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이)가 개인정보 보호법 제32조에 따라 등록․공개하는 개인정보파일의 처리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1. 개인정보 파일명 : 미세먼지퉤퉤퉤개인정보의 처리목적 : GPS 기반 미세먼지 농도 측정용수집방법 : 앱 등록보유근거 : GPS 기반 미세먼지 농도 측정용보유기간 : 지체없이 파기관련법령 :제2조(개인정보 영향평가 수행결과)**제3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에 관한 사항)**① 은(는)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만 처리하며, 정.. FrameLayout(프레임 레이아웃) 프레임 레이아웃 (FrameLayout)은 여러 개의 뷰를 중첩으로 쌓고 그 중 하나를 맨 윗 상단에 표시할 때 사용하는 레이아웃이다. 여러개의 뷰를 겹처서 배치할 수 있는게 큰 특징이다. 순서대로 작성하였다면 화면에서 보이는 것은 역순으로 보인다. RelativeLayout(렐러티브 레이아웃) RelativeLayout은 기존 뷰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레이아웃이다. RelativeLayout 다른 뷰와의 관계 기존 뷰 테두리를 기준으로 배치가 된다.android:layout_above : 기존 뷰에 위쪽 배치android: layout_below : 기존 뷰에 아래쪽 배치android: layout_toStartof : 기존 뷰에 왼쪽 배치android: layout_toEndof : 기존 뷰에 오른쪽 배치기존 뷰 테두리 안쪽에서 맞춤 배치가 된다.android:layout_alignTop : 기준 뷰와 위쪽을 맞춤android:layout_alignBottom : 기준 뷰와 아래쪽을 맞춤android:layout_alignLeft : 기준 뷰와 왼쪽을 맞춤android:layout_a.. LinearLayout(리니어 레이아웃) LinearLayout(리니어 레이아웃)은 View의 배치방향을 지정한 방향대로 쌓아 올린다. 수평 방향(vertical) 수직 방향(horizontal) 액티비티(Activity) 안드로이드 앱은 액티비티(Activity) , 서비스(Service) , 브로드캐스트 리시버(Broadcast Receiver),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 등이 있는 컴포넌트(Component)를 기반으로 한다. 이 중 액티비티는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화면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Kotlin] 클래스의 종류(3) - 캠피니언 클래스 캠피니언 클래스는 멤버 변수나 함수를 클래스 이름으로 접근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캠피니언 클래스를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클래스 이름으로 특정 멤버를 이용 가능하다. compan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class MyClass (){ companion object { var data = 10 fun some() { println(data) } } } fun main() { MyClass.data = 20 MyClass.some() } 위 예시 코드처럼 object 키워드를 사용하여 캠피니언 클래스를 만들며 Myclass로 멤버에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Kotlin] 클래스의 종류(2) - 오브젝트 클래스 오트젝트 클래스는 익명 클래스를 목적으로 만든다. -> 클래스를 선언하면서 동시에 객체 생성을 해야한다. object 키워드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open class Super { open var data = 10; open fun some(){ println("i am super some() : $data") } } val obj = object:Super() { override var data = 20 override fun some() { println("i am object some() : $data") } } fun main() { obj.data = 30 obj.some() } 위 예시 코드처럼 object 키워드를 사용하여 멤버 변수와 함수를 포함한 클래스를 선언하며, 선언과 동시에 객.. [Kotlin] 클래스의 종류(1) - 데이터 클래스 데이터 클래스는 data 키워드를 선언하여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캡슐화 해준다. 보통 데이터 클래스를 VO 클래스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equals(), hashCode(), toString() 등의 메서드가 있다. ->나중에 더 자세하게 다뤄보기로 하겠습니다. :) data 키워드를 사용하여 data 클래스를 이용하면 객체의 데이터 비교할 때 훨씬 편리하다. 데이터 클래스는 데이터를 다루는 데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주 생성자에 val,var 키워드로 매개변수를 선언하여 클래스의 멤버 변수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equals() 함수를 이용하여 변수의 데이터 값을 비교 할 수 있으며, ->equals() 함수는 주생성자에서 선언한 데이터들만 비교한다. data class Dat.. [Kotlin] 접근 제한자 접근 제한자란 클래스의 멤버를 외부의 어느 범위까지 이용하게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키워드이다. 물론 코틀린에서는 변수나 함수를 클래스로 묶지 않고 소스 파일의 최상위에 선언 할 수 있고, 접근 제한자로 이용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접근 제한자 최상위에서 이용 클래스 멤버에서 이용 public 모든 파일에서 가능 모든 클래스에서 가능 internal 같은 모듈 내에서 가능 같은 모듈 내에서 가능 protected 사용 불가 상속 관계 하위클래스에서 가능 private 파일 내부에서 가능 클래스 내부에서 가능 *키워드와 접근 범위를 나타낸 표이다. - public 키워드는 접근 제한이 없어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하다. -> 코틀린에서는 접근 제한자를 생략하면 기본적으로 public이 된다. - interna.. [Kotlin] 상속 클래스를 선언할 때 다른 클래스를 참조해서 선언하는 것을 상속이라 한다. 상속을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위 클래스에서 정의된 기능을 하위 클래스에서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코틀린에서 상속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open 키워드를 사용하여 상속이 가능하도록 명시해야 한다. open class Super{ } class Sub : Super() { } 상속 대상이 되는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라 하고 상속 받는 클래스를 하위 클래스라 한다. 상속 받을 때 하위 클래스 뒤에 : (콜론) 상위 클래스를 입력해야 한다.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