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Kotlin] 상속 클래스를 선언할 때 다른 클래스를 참조해서 선언하는 것을 상속이라 한다. 상속을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위 클래스에서 정의된 기능을 하위 클래스에서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코틀린에서 상속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open 키워드를 사용하여 상속이 가능하도록 명시해야 한다. open class Super{ } class Sub : Super() { } 상속 대상이 되는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라 하고 상속 받는 클래스를 하위 클래스라 한다. 상속 받을 때 하위 클래스 뒤에 : (콜론) 상위 클래스를 입력해야 한다. [Kotlin] 변수 코틀린 변수의 종류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멤버 변수 - 클래스 내부에 선언되고, 클래스의 모든 메소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 - 주로 클래스의 상태를 나타냄 전역 변수 - 직접적으로 전역 변수를 정의 할 수 없다. (전역 변수의 개념은 패키지의 변수를 선언하는 것으로 대체) -> 패키지 수준의 변수는 해당 패키지 내의 모든 클래스의 사용 가능하다. ->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자원관리와 라이브러리, 플러그인과 출동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전역변수의 사용을 줄인다. 인스턴스 변수 -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속하는 변수 - 클래스 내부에 선언되고, 해당 클래스의 모든 메소드에 접근 가능하다. 매개 변수 - 함수나 메소드에 전달되는 값이다. - 함수나 메소드가 호출될 때 해당 매개 변수로 사용한다. // 클래스 .. [Kotlin] 클래스 코틀린에서 클래스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객체의 상태는 클래스의 속성이나 필드로 표현되며, 객체의 행위는 클래스의 메서드로 표현된다. 코틀린에서 클래스는 class 키워드로 선언합니다. class Chae { } { } 안 영역이 본문이다. 만약 클래스의 본문에 내용이 없다면 생략 가능하다. 이전 1 2 3 4 다음